유통업계, "백신은 강화된 제도로 그외 제제 선택적으로 해야"

생물학적제제 유통강화제도가 시행되면서 곧바로 당뇨환자들이 약을 찾아 약국을 이리저리 찾아다니는 사태로 이어지면서 불거진 인슐린사태, 그 해결을 위한 정부와 업계의 노력이 어디까지 왔을까.
일단 제도를 만들 식약처는 인슐린제제가 약국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하기 위해 두팔을 걷어올린 상황이다.
제도 도입취지가 결국 최종 환자가 안전하게 약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는 점에서 유통과정에서의 콜드체인의 원칙은 지키고 시장에서 작용될 수 있도록 제도수정을 마련중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와관련 뉴스더보이스와의 통화에서 "내부검토에 다소 시간이 필요하지만 조금씩 개선안 마련이 진전되고 있다"면서 "향후 식약처가 마련한 안을 가지고 이해관계 업계나 관(복지부) 등과 비공식적인 만남을 통해 실제 시장에서 실행가능한지를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시장작동여부를 확인한 후 인슐린의 유통안정화 개선방안을 공개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며 "시일을 명확하게 단정하기 어렵지만 늦어도 연말이전까지는 이번 사안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인슐린 공급의 주체인 유통업계의 상황은 어떨까.
정부가 인슐린 관련 제도유예를 진행한 만큼 대부분의 업체는 콜드체인에 필요한 장비 마련 등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아이스박스 부피와 자동온도기록장치, 마진없는 약가문제 등으로 취급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서울의 한 유통업체 핵심간부는 "현재 배송 효율화를 위해 대형뿐만 아니라 소형 아이스박스를 구하는 등 최대한 제도시행에 준비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인슐린은 약국과의 거래에서 이익을 남길 수 없는 구조이기에 더욱 이번 유통강화방안은 유통업계에겐 더욱 공급의 이유를 약하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핵심간부는 "만약 환자가 약국에서 인슐린을 구매해서 집까지 가는 시간은 어떻게 할 것이냐"면서 "안전하게 약을 투여하기 위해 환자도 아이스박스를 들고다녀야 하지 않겠냐. 그동안 인슐린관련해 유통과정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았기에 더욱 이번 제도강화가 업체로서는 수용하기 힘든 상황이었다"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유통업계 한 인사는 "유통업계는 백신의 경우 식약처의 제도강화를 적용하도록 하고 그 외적인 제제는 기존제도를 병행할 수 있도록 그 선택의 폭을 넓혀줄 필요가 있다"면서 "물론 식약처가 적용품목 분류가 쉽지는 않겠지만 현재의 유통업계 현실을 반영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당뇨환자단체는 인슐린을 취급하는 거점약국을 지정해 해당 정보를 환자에 공유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유통업체에는 취급의무화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국회도 최근 국정감사를 통해 식약처에 거점약국 지정은 물론 취약한 유통업계의 근본적인 유통개선안 마련까지 주문하는 등 인슐린사태의 적극적인 해결을 요구했다.
식약처가 이번 인슐린사태와 관련 어떤 해답을 내놓게 될 지 앞으로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