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명당 결핵환자 80명...아이슬란드보다 33배 많아
상태바
10만명당 결핵환자 80명...아이슬란드보다 33배 많아
  • 정우성 기자
  • 승인 2017.09.30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상훈 의원, 매년 3만명 이상 발생...과감한 투자 필요

후진국 병으로 알려진 결핵환자가 국내에서 매년 3만명 이상 신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누계로 보면 35만명이 넘는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는 가장 적은 아이슬란드와 비교해 33배나 더 많았다.

29일 질병관리본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인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35만4150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했다. 매년 3만 명이상의 결핵환자가 신규 보고되고 있는 것이다.

연도별로 보면 2006년 3만3710명, 2008년 3만4157명이던 결핵환자가 2009년 3만5845명, 2010년 3만6305명, 2011년 3만9557명, 2012년 3만9545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3년 3만6089명, 2014년 3만4869명, 2015년 3만2181명, 2016년 3만892명으로 다소 감소추세에 있다.

해마다 400억대 결핵퇴치 사업을 하고 있지만 큰 효과는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2016년의 경우 경기가 6577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5769명, 부산 2221명, 경북 2214명, 경남 1977명, 인천 1635명, 전남 1515명, 충남 1483명, 대구 1466명, 강원 1298명, 전북 1281명, 충북 977명, 광주 737명, 대전 677명, 울산 651명, 제주 311명, 세종 103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외국인 결핵환자는 1만1204명으로 2016년의 경우 10년 전인 2006년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16년의 경우 80세 이상이 4693명으로 가장 많았고, 75~79세 이상 3057명, 55~59세 2719명, 50~54세 2448명, 70~74세 2402명, 60~64세 2227명, 45~49세가 2165명 등으로 분포했다.

환자들을 상대하는 보건의료인 감염자도 해마다 200명 이상씩 발생하고 있다. 2013년 214명, 2014년 294명, 2015년 367명, 2016년 272명의 보건의료인이 결핵환자로 드러났다.

WHO 통계인 OECD국가의 결핵발생률을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80명으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라트비아가 41명으로 2위, 포르투갈 23명, 멕시코 21명, 폴란드 19명, 에스토니아와 터키가 각 18명, 일본 17명, 칠레 16명, 스페인 12명, 영국 10명 순이었으며, 아이슬란드가 2.4명으로 가장 낮았다. 미국은 3.2명이었다. 아이슬란드에 비해 우리나라 결핵발생률이 33.3배나 높은 셈이다.

김상훈의원은 “우리나라 결핵발생률을 보면 너무 부끄러울 정도의 수준”이라면서 “7월부터 건강보험공단이 주관하는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때 잠복결핵 검진을 시행하고 있지만 5년간 한시적 실시인데, 유아기, 청소년기 등 전 연령대에 걸친 검진 등 보다 체계적이고 철저한 결핵퇴치 전략과 과감함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