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 급증 속 제자리 정책에 ‘수진자 중심주의’ 밝힌 당뇨학회
상태바
당뇨환자 급증 속 제자리 정책에 ‘수진자 중심주의’ 밝힌 당뇨학회
  • 문윤희 기자
  • 승인 2023.10.11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뇨환자 600만 시대에 환자 교육 비율은 20%대 불과
교육상담료 1회만 급여 인정…중증 난치 당뇨 ‘종병관리’ 방점
스마트 케어 코디네이터 도입 예고에 ‘교육 집중’ 의지 밝혀

“그동안 공급자 중심으로 이뤄졌던 당뇨병 관리를 수진자 중심으로 이동시켜 나가겠다.”

대한당뇨병학회가 환자중심 당뇨병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 개선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지를 밝혀 주목된다. 약물 중심의 당뇨병 관리를 교육과 상담을 통한 통합 관리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중증 난치성 당뇨병 관리는 종합병원 중심으로, 2형 당뇨병 등 경증의 당뇨병은 1차 의료기관에서 관리가 가능하도록 의료기관에 따른 역할 분담을 명확하게 하는 한편 1차 의료기관에 추진되는 스마트 케어코디네이터 교육에도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학회의 이 같은 방안은 환자 급증에 따라 관련 치료제 시장이 급성장하며 1조원에 달하는 규모를 보임에도 당뇨병 조절율은 10년 전 53%에서 현재 56%로 별다른 개선을 보이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1일 한국사회복지회관 6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3년 대한당뇨학회 추계 기자간담회'에서 문준성 대한당뇨병학회 총무이사는 “당뇨환자 600만 시대를 맞이하고 있지만 환자 교육 수가가 1회만 인정되고 연속혈당측정기기 등 교육 수가가 인정되지 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실제 당뇨병 교육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도 당뇨병 교육을 받은 환자 비율은 비율은 20.3%로, 30세 이상 1498명의 당뇨환자 중 305명만이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이 당뇨병 교육이 낮은 이유는 교육상담료가 비급여인데다 의사, 간호사, 영양사로 구성된 교육자를 통한 1회 교육만 급여로 산정돼 있기 때문”이라면서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교육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총무이사는 “최근 연속혈당측정기 등 의료기기가 고도화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교육을 (수가 인정이 되지 않아) 환자들이 알아서 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학회 차원에서 정부 측에 지속적으로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부의 재정 부담 등의 요인으로 답보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학회에 따르면 일본의 경우 인슐린펌프 등 당뇨관련 의료기기 수가 인정으로 8800여명의 환자가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120여명 정도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문 총무이사는 “일본과 같이 펌프 등 렌탈 시스템이 없고 요양비로 분류돼 있어 복잡한 절차와 청구 방식으로 수급률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면서 “당뇨병에 사용되는 디지털 기기에 사용에 대한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 총무이사는 또 “일차의료 만성질환 관리사업으로 당뇨병은 동네 병원에서 관리가 가능했지만 교육자들의 인건비 문제 등으로 환자 교육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스마트케어 코디네이터 도입이 올해 하반기 시행을 앞두고 있다”면서 “의원 내 당뇨병 교육을 담당할 스마트 케어 코디네이터 양성으로 정책 방향이 선회됐기 때문에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함께 코디네이터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간호사, 영양사 케어코디네이터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뇨병학회는 당뇨병 교육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관련 자료가 많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면서 교육을 주도하려고 한다”면서 “앞으로 학회는 만성질환 관리는 의원 중심으로 중증 난치성 당뇨병은 종합병원 중심으로 운영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당뇨병 약물치료 관리 활성화를 위해 공급자 중심에서 수진자 중심으로 환경 변화에도 나설 것”이라면서 “개별화와 고도화를 통한 세밀한 보상체계 마련과 관리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