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차이나 프리' 추진 美, 기회 맞은 K-의약품
상태바
[수첩] '차이나 프리' 추진 美, 기회 맞은 K-의약품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1.10.12 02: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중분쟁 바이오 안보 중요성 부각...공급망 체인변화 대응 필요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의약품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지난해 9월이다.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리면서 미국의 압박에 중국의 몇 안되는 보복카드의 하나로 원료의약품 수출금지가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 잠시 거론된 바 있다. 당시 반도체에 사용되는 희토류 등이 주목을 받으면서 살짝 가려져 있던 내용이다. 

이후 미국 바이든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 2월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100일간 검토토록 한 행정명령((E.O. 14017) 서명했다. 거론됐던 품목은 반도체, 희토류 등 핵심광물, 전기차 배터리와 함께 원료의약품(API) 포함시켰다.

당시 국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재현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전경련 주최로 열린 좌담회에서 코로나19로 바이오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의약품 시장은 미국과 동맹국간의 수직적 가치사슬의 형성 예상하고 한국의 수혜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전망을 내놓았다.

예측대로 백악관은 글로벌 공급망 검토보고서를 통해 지난 6월 모두 6가지 정책 방향을 설정했다. 그중 하나로 글로벌 공급망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동맹·파트너십의 강화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반도체와 배터리와 달리 국내기업들이 미국이 추진하는 의약품 글로벌 공급망의 구축에 따른 수혜를 예측하는데 있어 약간의 걸림돌도 존재한다.

이재현 교수는 국내제약산업이 위탁생산에 강점을 갖고 있지만 원료수입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정부의 지원과 약가 정상화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한국산업진흥기술원도 지난 8월 발간한 ‘미국 공급망 100일 검토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국내 의약산업이 뛰어난 위탁생산 능력에 비해 원료의약품 해외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개선점으로 지목하고 있다.

실제 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중국수입 비중이 37%로 가장 높다. 또 원료의약품 국내생산 비중은 16%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수입으로 이에 대한 개선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주문하고 있다. 

미국은 의약품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는 '차이나 프리'를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실현이 쉽지 않겠지만 의약품 공급체인에서 중국의 비중과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미국의 전략이 펼쳐질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현재 바이든 행정부는 꺼내들 의약품 분야 중국 견제 카드로 FDA 승인시 원료 등에 대한 엄격한 기준 적용 등의 우회적 방법과 함께 관세를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미국은 88%에 달하는 원료의약품 외국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미국내 생산 확대와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통해 충분히 리스크 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시점에서 본격적인 행동에 나설 계획으로 현시점에서 결행시기를 가늠하기는 다소 이르다.

글로벌 제약업계는 이같은 변화에 본격적이 대처가 이뤄지고 있다. 화이자가 지난해 3월 중국내 바이오생산시설 매각을 시작으로 암젠의 미국공장 신설, 아스트라제네카가 아일랜드에 소분자 API시설투자 소식 등이 줄을 잇는다. 반면 그간 활발하던 중국내 투자소식은 감쪽같이 사라졌다.

중국 베이진사의 움직임을 보면 좀더 명확해 진다. 베이진은 지난 8월 미국내 주력 생산시설 건설을 추진키로 했다. 중국내 생산도 베링거인겔하임 중국공장에 주력제품을 위탁생산중인 중국내 신흥기업으로 단지 쑤저우와 광저우에 소규모 공장을 운영 중이다.

더욱이 핵심 주력제품인 PD-1 면역항암제 '티스렐리주맙'의 글로벌 판권을 노바티스에 판매한 상황에서 베이진이 미국공장을 설립한다는 것 자체는 중국의 기업마저도 미국의 탈중국화를 예상하고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따라 국내제약산업도 미국의 정책변화와 글로벌제약산업의 동향에 대응, 위탁생산 또는 완제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의약품의 수입 다변화, 자급율 개선과 공급망 체인 참여를 통해 수출할 원료의약품의 발굴, 완제의약품의 수출 등 미국이 재편을 꾀하는 의약품 공급망 변화에 대한 준비가 요구된다.

정부 차원에서도 안정적인 국내 의약품 공급 기반 구축과 함께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원정책의 검토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