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봉식 소장 "공공의대 설립, 리플리증후군에 빠진건가"
상태바
우봉식 소장 "공공의대 설립, 리플리증후군에 빠진건가"
  • 문윤희 기자
  • 승인 2022.02.17 0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재명 '공공의대' 설립 발언에 "논리적 고찰과 이성적 판단해야" 지적
"아직까지는 세부적 논의와 사회적 합의 필요" 강조
우봉식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소장
우봉식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소장

공공의대 설립 필요성을 역설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발언에 대해 우봉식 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장은 '리플리증후근'을 언급하며 논리적인 고찰과 이성적 판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정부와 의료계는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다 팬더믹과 직면하며 잠정 중단한 상태인데, 여권의 대선후보가 물 밑으로 가라앉은 이슈를 꺼내 정쟁의 불씨로 삼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 소장은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E-뉴스레터 135호 '이슈' 코너에 '대한민국 공공의대, 리플리증후군에 빠진건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여당의 유력 후보가 전북 남원지역에 공공의전원 설립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하면서 공공의대 논쟁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면서 "공공의대 학생 선발에 대한 '현대판 음서제' 논란이 일었고 의사들의 반대 속에 코로나19 이후 논의하기로 의정간 합의를 하고 소강상태에 있던 사안이 선거공약으로 언급되면서 논쟁의 불씨가 다시 불붙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는 공공의대 설립 명분으로 ‘지역의 필수·응급 의료를 책임질 공공의료 인력을 확보하여 사명감과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근무할 공공보건의료 핵심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말한다"면서 "이를 뒷받침할 필수·응급 의료의 지표로는 ‘의료적 지식과 기술을 고려할 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인구 십만 명 당 사망자 수’를 뜻하는 ‘치료가능사망률(AM)을 들고 있다"고 밝혔다. 

OECD 건강통계(OECD Health Statistics 2021)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료가능사망률(AM)은 2014년 50.0명(OECD 평균 77.2명)으로 OECD 38개국 중 5위에서 2019년에는 42.0명(OECD 평균 74.4명)으로 개선됐다. 2019년 통계가 보고된 OECD 32개국 중 스위스(39.0명)에 이어 2위다. 

2019년 기준 시도별 AM 자료에 따르면 전국 평균 41.83명에 서울이 36.36명으로 가장 낮고 충북이 가장 높은 46.95명으로 나타난다. 

우봉식 소장은 "충북지역만 놓고 보아도 2019년 기준 AM이 보고된 OECD 32개국 중 호주(46.0명)에 이어 5위 수준에 해당되어 우리나라는 광역시도 가운데 AM이 가장 높은 충북조차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낮은 수준이란 뜻"이라면서 "그런데 정부는 전국에서 AM이 가장 낮은 지역은 충북이라고 말하면서 정작 공공의대는 충북이 아닌 전북 남원에 설립하겠다고 말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인구 천 명당 임상의사 수가 OECD 국가 중 가장 많은 오스트리아(5.3명)는 2019년 기준 AM이 55.0명으로 AM이 보고된 OECD 32개국 12위에 불과하다"면서 "이는 의사가 많다고 의료의 질이 더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웅변적으로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우봉식 소장은 아시아권에서 다른 나라의 공공의대 사례를 언급하며 정부 주도의 공공의대 설립이 그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우 소장은 "대만은 1975년 정부 주도로 ‘원호 의료’ 등을 목적으로 ‘국립양명의대’를 설립했지만 추후 양명의대 졸업생 취업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비(公費) 수혜 학생 중 ‘취약지’에 잔류한 졸업생은 3.8% 불과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개원가로 진입해 설립 취지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면서 "일본도 장학금을 주고 지역에 남을 의사를 육성하는 '의대 지역정원 제도'나 의료취약지에 종사하는 의사를 양성하는 ‘자치의대’ 제도를 가지고 있으나 이 역시 학생들이 졸업 후 자녀 교육 등의 문제로 인해 도시 지역 근무를 선호하면서 갈수록 지원자가 줄어서 입학 정원 결손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상황인데도 인구와 인프라 등 모든 점에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대도시와 농촌 지역의 상황을 극단적으로 대비시켜 가면서까지 공공의대를 추진하는 의도가 무엇인지 정부나 국회 어디서도 납득할 만한 설명이 없다"면서 "명확한 정의조차 없는 ‘공공의료’를 강화하겠다며 공공의료기관 중심으로 보건의료를 재편하겠다고 나서는 모습은 아름답지도 정의롭지도 못해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소장은 "공공의대를 추진하려는 목적이 정치인의 지역구 민원 해결이나 자기 영달을 위함이라면 이는 개탄스런 일"이라며 "공공의대와 공공의료만이 우리나라 보건의료 현안에 대한 해법이라는 확증편향이 만든 오류와 허구를 진실인 양 믿고 주장하는 '리플리증후군'에 빠졌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부디 논리적인 고찰과 이성적 판단으로 현명한 결정을 하길 바라며 아직까지는 더 많은 세부적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깊이 새겨야 할 것"이라며 글을 마무리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