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복약 비 이행...질병-교육수준-부작용-만족도 등 영향
상태바
환자 복약 비 이행...질병-교육수준-부작용-만족도 등 영향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5.13 06: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민영 휴베이스 연구소장, 만성질환자의 복약 비 이행 영향요인 분석 소개

"복약 비 이행을 보이는 환자는 약물 치료에 대한 우려 인식이 높고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다. 의도적 복약 비 이행은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 인식과 관련이 높다."

김민영 휴베이스 연구소장은 13일부터 시작한 병원약사회 병원약제부서 중간관리자 역량강화 온라인 교육을 통해 '만성질환자의 복약 비 이행 영향요인 분석'에 대해 설명했다. 해당 내용은 지난해 약학회지 '의료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만성 질환자의 의도적, 비의도적 복약 비 이행 및 영향 요인 분석'에서 영향요인만을 발췌한 것이다.

김 소장은 복약 비 이행 영향요인을 질병,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재정적 변수, 심리사회적 변인, 진단시기, 약물부작용, 약물 만족도 등으로 나눠 소개했다.

▶질병=질병의 경우 고혈압 대상은 비의도적 복약 비 이행이 더 높으며 관절병증은 의도적 복약 비 이행이 더 높았다.

이는 질환의 특성상 약물 복용 이후 증상이 사라지거나 약해지는 경우 의도적으로 약물 복용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가정할 수 있다.

천식환자 대상 연구에서 환자의 지각된 증상의 부족은 복약 비 이행의 주 원인 중 하나이며 증상이 있을 때만 약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암 환자는 통증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처방받는 환자의 비율이 85.5%이지만 51%의 환자들이 진통제 용량의 60%만을 복용한다는 연구결과도 소개됐다.

또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33.3%가 복약 비 이행, 의도적 복약 비 이행 27.6%, 비의도적 복약 비 이행 5.7%에 불과했다.

▶인구사회학적=여성이 복약 비 이행이 더 많으며 의도적 복약 비 이행은 남성이 더 많다.

복약 이행군보다 복약 비 이행 환자가 나이가 더 어렸으며 비의도적 복약 비 이행군보다 의도적 복약 비 이행군의 나이가 더 많았다.

결혼을 한 사람이 미혼보다 약물요법을 더 잘 준수하고 주기적인 병원 방문으로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환자가 약물 복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복약 비 이행이 발생하고 있으며 적절한 건강정보 이해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의도적으로 복약 비 이행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학력이 낮은 경우 비의도적 비 이행이 20.4%로 의도적 복약 비 이행 9.4%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재정적 변수=가구 소득, 월 평균 약값, 약제비 부담 수준 등이 재정적 변인이다. 고혈압 환자 대상 연구에서 가구 소득이 높을 수록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복약 비 이행 비율이 높았고 의도적 복약 비 이행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약제비에서 공동 부담금이 있는 경우 공동 부담금이 없는 군보다 복약 비 이행을 할 확률이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환자의 경우 월평균 약값, 약제비 부담 수준에 따라 복약 이행과 복약 비이행률에 차이를 보였으며 부담이 덜 되는 경우 복약 비 이행 비율이 높았다. 또 가구 소득이 낮은 경우 복약 이행의 비율이 높고 가구 소득이 높은 경우 복약 비 이행의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다만 재정적 변수는 연구에 따라 상반된 결과나 나오고 있다.

▶심리사회학적 변인=스트레스, 우울감, 불안감 등이 심리사회학적 변인이다.

스트레스는 복약 비 이행을 증가시키며 자신이 약에 예민하고 민감하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면 복약 이행 의도가 낮았다.

우울감은 복약 비 이행의 위험인자이며 불안감은 스타틴제제 복용환자에서 약물 복용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진단시기=복약 비 이행은 질병 진단 초기에 높게 나타나며 구체적으로 치료 초기에 약물 효능에 대한 인식은 낮고 부작용에 대한 위험 인식은 높다. 질병을 진단 받은 초기에는 약물 복약 비 이행의 비율이 높지만 진단 시기가 오래되고 약물복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약 이행의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약물 부작용=부작용 경험여부는 복약 비 이행의 위험과 관련 있으며 약물로 인해 피해가 예상될 경우 약물 복용을 꺼리게 된다.

▶약물 만족도=치료 및 약물에 대한 환자만족도는 복약 비 이행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다. 약물에 대한 환자의 불만족은 의도적 복약 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이다.

환자의 치료과정에 대한 만족, 약국 처방에 대한 만족이 복약 이행과 강하게 연관돼 있으며 고혈압 환자의 경우 자기 효능감이 낮은군, 약물에 대한 필요성 인지가 낮은군, 약물에 대한 염려 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치료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그 결과 의도적 복약 비 이행 비율이 높았다.

여기에 치료 약물에 대한 신념도 복약 이행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