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 자신감의 이유 '다이아벡스 & 신약 19호와 콜라보'
상태바
대웅 자신감의 이유 '다이아벡스 & 신약 19호와 콜라보'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2.12.02 0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망]중국부터 글로벌시장 진출...자디앙·포시가 양강체계 변화예고

자디앙과 포시가로 되는 대변되는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치료제 시장에 대웅제약이 국내신약 36호 엔블로정(이나보글리플로진)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대웅제약은 30일 식약처 승인을 받은 엔블로정에 대해 내년 상반기중 급여등재를 완료, 3년 누적매출 1천억원을 달성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자디앙과 아스트라제네카의 포시가 위세에 밀려 SGLT-2 억제제시장에서 아스텔라스의 '슈글렛', 엠에스디의 '스테글라트로'의 존재감은 높지는 않다. 얀센의 인보카나는 식약처 허가 후 국내 출시를 포기하고 철수했다.

지난해 매출기준 자디앙 듀오, 직듀오 등 SGLT-2+메트포르민 복합제 포함 SGLT-2 억제제 원외처방액 시장 규모는 1500억원. 이중 96.5%의 매출이 포시가와 자디앙 라인업에나 나왔다.

이같은 매출구도를 고려하면 대웅의 매출 목표는 2강 구도의 재편을 의미하며 이같은 자신감은 당뇨치료제 시장에서의 구축해 놓은 강력한 입지다.

<다이아벡스 420억원+α...국내신약 19·36호의 콜라보>
대웅제약의  다이아벡스와 서방제형 XR의 지난해 매출은 420억원대다. 이는 대웅바이오와 한올바이오 등의 매출을 제외수치. 이 매출만으로 메트포르민 단일제 시장규모 820억원 대비 점유율은 과반을 넘는다.

당뇨병 치료의 엔트리 제품이자 감초인 메트포르민 단일제 시장에서 대웅의 점유율은 '엔블로정' 성장의 토양이 될 전망이다.

세부적으로 500mg에 주력하는 업계의 관행과 달리 대웅제약은 1000mg 고용량과 상급종병, 종병, 병원 원외처방액의 비중을 끌어올리는 장기 영업전략을 통해 토양을 더욱 기름지게 만드는 사전정지작업에 진행된 것으로 분석됐다.

간략하게만 살피면 1000mg 원외처방액 중 다이아벡스 점유율은 70%에 근접하고 서방제형 XR은 70%를 상회한다. 한올과 대웅바이오 원외처방액을 포함할 경우에는 모두 70%를 넘는 점유율이다. 

또한 머크의 글루코파지(엑스알 포함)에 이어 병원급 매출비중은 43~50%대로 다른 경쟁 제약사와 뚜렷한 차별성을 갖는다. 사실상 엔블로정 출시에 맞춰 철저한 준비가 진행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신약 19호 DPP-4억제제 제미글로, 36호 SGLT-2억제제 엔블로의 간의 콜라보가 이뤄진다는 점도 시너지다.

적응증은 단독, 메트포르민 병용,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로 병용까지의 임상결과를 기반으로 승인된 만큼 LG생명과학과 판매 협업이 진행되는 2030년까지 두품목의 콜로보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3년 누적 1천억원 매출 관련 '3년'이라는 부분에 방점을 두면 자디앙의 제네릭 출시시점도 고려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외 적응증 확대와 메트포르민 등 복합제 개발 등 대웅제약의 일련의 계획발표를 고려하면 병용요법의 조기급여화 등 시장 점유율 조기 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낮은 약가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

즉 약가를 통한 매출 성장보다는 당뇨치료 영역에서 유기적인 생태계의 형성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진단된다. 

<중국부터 글로벌 시장 공략...3상 개시>
클리니컬 트라이얼에 등록된 엔브로정 관련 취합할 수 있는 글로벌 임상시험 정보가 부족하고 제한적이나 일부 내용을 통해 중국내 3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9월 예상 임상시작일로 298명의 환자 대상 다파글리플로진(포시가)와 비교하는 3상이 진행중이다. 임상은 2024년 완료될 예정이다. 대웅제약이 밝힌 해외진출 계획과 일정은 일치한다.

연구책임자는 북경대학교 인민병원 지리농 박사로 엔브로정 개발명에도 중국 국가코드가 추가됐다. 

이외 한국인, 코카서스인, 히스페닉 참가자 각각 8명을 대상으로 인종간 투약안전성을 살피는 1상 등이 진행되는 등 점진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실제 대웅은 보도자료를 통해 2025년까지 중국,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10개국, 2030년까지 전 세계 약 50개국에 진출한다는 로드맵을 구성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한국을 약가참조국에 포함시키는 등 신뢰를 보여주고 있어 국내 제약사 진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지역이다.

선발품목이 많은 만큼 FDA 승인루트보다는 시장성 높은 글로벌시장 공략에 먼저 나서는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