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RNA 컨소시엄 성공여부...정부의 전폭적 지원 절실
상태바
K-mRNA 컨소시엄 성공여부...정부의 전폭적 지원 절실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6.30 0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접적 재원 등 정책적 뒷받침...기업 위주 개발로 한계
글로벌 백신 강국 청사진 속 체계적 생태계 지원방안도

화이자와 모더나가 개발한 새로운 형태의 코로나19 백신 mRNA를 국산화할 수 있을까.

29일 복지부와 제약바이오협회는 한미약품과 에스티팜, GC녹십자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 'KIMCo')이 지원하는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이하 K-mRNA 컨소시엄)을 결성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에스티팜·GC녹십자 등 컨소시엄 참여 3개사 대표이사와 KIMCo 대표 등은 이날 오전 11시 30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차세대 mRNA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 출범식을 갖고 성공적인 성과 창출을 다짐했다.

컨소시엄 구성은 원료와 백신 제조, 신약개발 등 각 분야에 강점을 지닌 기업들이 하나의 팀을 이뤄 mRNA 코로나19 백신의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춰 백신 자급화와 글로벌 수출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백신에 강점인 3개 제약사가 모여 내년까지 mRNA 백신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2025년까지 관련 기반의 항암백신과 차세대 혁신신약 개발을 이끌어낸다는 당찬 목표다.

이를 위해 이들 제챡사는 임상과 핵심원료, 대량생산설비 구축 등에 7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할 계획하고 있다.

이같은 소식에 권덕철 복지부장관은 정부도 백신 개발과 생산을 가속화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백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나가겠다는 확약했다.

여기에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장도 이날 개회사를 통해 자체 백신 개발은 보건안보의 핵심이자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의 필수조건이라며 백신주권과 세계 백신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29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주요참석자들이 협약서 서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허경화 KIMCo 대표,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 김경진 에스티팜 사장,  허은철 GC녹십자 사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엄보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본부장.
29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주요참석자들이 협약서 서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허경화 KIMCo 대표,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 김경진 에스티팜 사장, 허은철 GC녹십자 사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엄보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본부장.

실제 정부의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 되고 있다. 단순이 선언적인 지원이 아닌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뭔가의 구체적이며 지속적인 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직접적으로 기업에 재정적 지원은 물론 워프 스피드 작전(Operation Warp Speed, OWS)를 수립해 개발재정 지원은 물론 임상시험 지원, 보급과정 지원으로 총 100억 달러를 체계적으로 투입했다.

이처럼 '기업이 알아서 하겠지'라는 추상적인 그림 속에 다소 지지부진한 듯한 국내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속도에 불을 붙이기 위해서도 정부가 앞장서 자금을 투입하고 개발 가능성을 높여나가야 한다.

이번 컨소시엄 출범을 기점삼아 될성싶은 기업들에게 가감없는 투자를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백신 강국을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 외에 백신주권을 세우기 위해 정부가 '특단의 결단'을 필요할 때다. 단시일내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고 포기하지 않고 꾸준하면서 지속적인 지원이 있어야 탄탄한 생태계가 만들어진다. 단순 결과론적인 성과물을 원하기보다는 전반적인 제약바이오산업을 한차원 성장발전시키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백신은 또다른 전염병 창궐에도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열쇠가 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들 제약사를 단순히 지원하는 것외에 중심축이 되어 앞으로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고민할 때다. 이번 기회에 메아리가 아닌 실체로서 더욱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정부가 내놓길 기대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