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치료제, 보험급여 진입..."비용효과 근거창출이 관건"
상태바
디지털치료제, 보험급여 진입..."비용효과 근거창출이 관건"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6.18 06: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원 성균관약대 교수, 디지털치료제와 미래 소개

최근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치료제의 미래를 어떻게 될까.

먼저 디지털치료제는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 치료하기 위해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근거기반 치료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원 성균관약대 교수는 17일 한국병원약사회 온라인 춘계학술대회에서 디지털 치료제와 미래에 대해 소개했다.

이 교수는 "디지털헬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의 변화에 따라 웰니스관리에서 질환의 예방과 치료로 초점이 변화됐다"면서 "디지털치료제는 현재 독립적으로 작동하거나 약리학적 개입을 대체, 기존 치료법을 증강하거나 보완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 교수는 디지털치료제의 한 예로 2017년 미 FDA에서 승인된 '어빌리파이 마이사이트'를 들었다. 오츠카제약의 조현병치료제 '아빌리파이'와 'IEM센서'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해당 약을 복용여부를 관리하는 것이다. 해당 센서는 구리와 마그네슘,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산과 반응해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신호는 피부에 부착한 패치에 의해 탐지되어 환자의 약물복용 시점을 기록, 환자동의 아래 환자와 보호자, 의사에게 공유돼 환자의 약물복용여부를 관리하는 디지털치료제다.

이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의 저렴하지 않은 가격이 문제라고 지목했다.

오리지널 어빌리파이는 40~50달러이며 제네릭은 10~20달러 수준이지만 해당 디지털치료제는 1600~1700달러에 이른다고 강조했다.

또 "디지털치료제 비용에 비해 편익이 커서 보험자에게 전체 재정절감 효과에 대한 입증이 앞으로 필요할 것"이라며 "2016년 미국 CMS 디지털헬스 당뇨 예방 프로그램 추진했으며 이를 이수한 환자 한명당 2650달러 가량의 메디케어 재정이 절감됐다는 보고서가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환자와 의료인이 디지털치료제에 대한 수용성도 필요한 부분"이라면서 "환자는 어빌리파이 마이사이트의 경우 매우 웨어러블 패치를 교체해야 하고 스마트폰 앱에 자신의 상태에 자발적으로 기록해야 한다. 센서를 이용해 정신질환자를 감시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을 넘어서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인의 경우 "디지털치료제 활용을 위해 많은 환자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해야 하는 부담, 임상적 근거와 진료가이드라인, 처방과 보험적용 가능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수용성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향후 "제약기업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디지털치료제를 주도해나갈 것"이라며 "역량 보완을 위해 제약기업과 디지털치료제 기업에의 제휴 확대도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허가를 받아 시판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융합제품에 대한 규제정책의 변화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아직 보험시스템에 완전히 진입하지 못했으나 디지털치료제의 비용효과 근거 창출이 된다면 보험체계로의 진입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