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정부 주도 펀드 통해 기업과 공동개발해야"

기업과 관 협력통해 대유행 준비 등 다양한 건버넌스 고민 이경호 제약바이오협 바이오팀 PL, 백신 자급화 과제 제안

2020-04-26     엄태선 기자

코로나19 등 백신개발은 정부 주도 펀드를 통해 기업과 공동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경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팀 PL은 정책보고서를 통해 '백신 자급화를 위한 과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PL은 "앞으로 발생가능한 감염병에 대해 정부 주도의 펀드를 만들어 배긴을 기업과 공동 개발하고 개발 성공시 가치 보건 방법고 백신 비축 지원 등 개발 후 기업과 관이 협력해 대유행에 준비하는 다양한 거버넌스에 대해 면밀히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는 이미 신종인플루엔자 팬데믹 사태 때 감염병 대융행을 원만하게 해결한 경험이 있다"며 "녹십자의 화순공장이 아시아에서 2번째, 전세계에서 9번째 백신 생산기지로 들어서면서 국내에서도 백신생산이 가능해졌으며 신종플루 당시 백신을 대량생산하며 대 신종플루 대응의 기지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다만 "사태 종식 후 정부의 백신 R&D투자가 백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적재적소에 이뤄졌는지는 의문"이라며 "녹십자의 화순 공장 건설을 전체 사용비용 800억원 중 162억원이 국비 부담이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기업이 부담한 사례"라고 지목하고 백신 수요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면 공장 건설뿐만 아니라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도 기업에 큰 부다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PL은 "코로나19뿐만 아니라 향후 유사 감염병 대유행을 대비하기 위해 정부의 감염병 관련 지원 정책 중 기업과 협력해야 하는 부문은 면밀한 검토를 통해 반복, 중복적인 정책이 아닌 선제적 백신 대응 체계로 발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앞서 그는 백신은 개발 기간, 열악한 임상 환경, 미래 신종 감 염병에 대한 불확실한 시장 등 여러 불안 요소 로 인해 기업이 지원없이 단독으로 개발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며 영·유아 출생인구 감소로 인한 시장축소,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 증가 등의 요인은 기업에 악순환, 즉, 적자누적에서 기술 개발 투자 여력 상실, 글로벌 경쟁력 미흡, 국가 신·변종 감염병 대응 능력 상실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