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폐암치료제 승인 목전, 한미약품의 미래는?
상태바
글로벌 폐암치료제 승인 목전, 한미약품의 미래는?
  • 문윤희 기자
  • 승인 2022.09.22 0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년 올리타 허가 취하 이후 포지오티닙 탄생
ODAC 부정적 평가와 경쟁 약물 존재 '허들'…다음 기약할 기반 확보

성공적인 항암제 출시의 꿈을 이루기 위한 한미약품의 노력이 다시 한번 무산될 위기에 처해지게 됐다.

21일 FDA가 항암제자문위원회(Oncology Drug Advisory Committee, ODAC)의 부정적 평가를 담은 브리프 내용을 공개하면서 FDA 승인이 무위로 돌아갈 공산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FDA 공개한 ODAC 의견을 종합해 보면 포지오티닙은 항암제 유효성 입증의 기준이 되는 '객관적 반응률(ORR, 28%)'과 '반응지속기간(DOR, 중앙값 5.1개월)'을 충족하지 못했다.

여기에 더해 부작용 문제도 언급됐다. ODAC는 포지오티닙의 1일 1회 16㎎ 투약군 368명 중 3~4급 부작용이 85%, 투약 용량 감소가 57%에 달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가속 승인이 이뤄진다면 현재까지 승인된 폐암 표적 치료법 중 가장 효과가 낮은 치료법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달았다.

의료계 찬사를 받은 경쟁약물의 존재도 포지오티닙의 FDA 승인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높다.

포지오티닙은 pan-HER2 항암제로 다이이찌산쿄의 ADC(항체약물복합제) 신약 엔허투(성분 트라스트주맙 데룩스테칸)와 원치 않는 경쟁 구도를 갖게 됐다.

엔허투는 2020년 DESTINY 임상 2상 결과를 기반으로 유방암에 대한 FDA 승인을 얻은데 이어 올해 8월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승인을 거머쥐는 행보를 거듭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약처에 문을 두드려 HER2 저발현 유방암에 허가를 확보했다.

ODAC의 의견, FDA 승인 영향력은?

이번 ODAC의 브리핑 내용이 무겁게 다가오는 이유는 FDA 승인 여부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이다.

한미약품의 입장발표와 같이 ODAC 의견에 구속력은 없지만, FDA는 바이오젠 아두헬름의 승인 과정에서 위원들의 찬반 논란 이후 사퇴상황까지 목도해야 했고 승인 이후 부작용과 효능 논란으로 인한 승인 취소 과정을 밟으면서 ODAC의 영향력은 더 높아지게 됐다.

업계 정통한 관계자 역시 "FDA 승인 과정에서 ODAC 의견은 절대적"이라면서 "최종결정은 FDA가 하겠지만 ODAC에 거슬리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 역시 "ODAC의 자문결과가 브리핑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FDA 승인 역시 그 분위기를 따라갈 것"이라면서 "적절한 치료제가 없거나 꼭 필요한 환자군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ODAC 의견은 반영된다"고 전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엔허투로 FDA 승인을 거머쥔 다이이찌산쿄도 2019년 급성골수성백혈병치료제(AML) 치료제 퀴자티닙이 ODAC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은 이후 FDA 승인이 불발된 경험을 가지고 있다.

퀴자티닙은 FDA 승인에 도전하며 같은 해 일본후생성(MHLW)으로 부터 승인을 받은 상태였다. 퀴자티닙은 FLT3-ITD 유전자 변이에 효과를 보이는 약물로 경쟁제품은 아스텔라스의 조스파타가 있었다.

주목할 부분은 퀴자티닙 역시 포지오니팁과 같이 FDA로부터 혁신치료제와 신속심사 대상으로 지정받으며 빠르게 승인 절차를 밟았다는 점이다.

당시 퀴자티닙은 대조군과 전체생존기간(OS)에서 6.2개월, 4.7개월로 1.5개월 차이를 보였지만 조혈모세포 이식수술 비율이 대조군과 큰 격차를 보인다는 이유로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됐다. 퀴자티닙 투여군의 조혈모세포이식 수술 비율은 23%, 대조군은 0%였다.

당시 ODAC는 "임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 무관하게 시험약 투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불균형이 크다"며 반대 이유를 들었다.

한미약품의 도전, 다음이 기대되는 이유 

글로벌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한 한미약품의 도전은 현재진행형이다. 한미약품은 앞선 2016년 국산 폐암치료제 올리타를 내놓으며 항암제 사업의 첫 발을 뗐다.

올리타는 비록 경쟁약물 타그리소(성분 오시머티닙)의 등장과 부작용 이슈를 겪으며 허가 취소라는 결과물을 받아들여야 했지만 이후 한미약품의 항암제 개발 열기에 불을 당기는 요소로 작용했다.

한미약품은 이후 신약개발 투자비용을 획기적으로 늘리며 포지오티닙이라는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포지오티닙 역시 FDA 승인이라는 문턱에서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나 그 결과가 어떻게 되더라도 한미약품의 항암제 개발 능력은 이미 글로벌 수준에 와 있음을 증명했다.

다이이찌산쿄가 엔허투로 승기를 잡은 데에는 퀴자티닙의 실기가 있었던 것처럼 한미약품의 포지오티닙이 차기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는 씨앗이 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