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 시장점유율, 네덜란드81.1%, 독일 78.7%순
상태바
제네릭 시장점유율, 네덜란드81.1%, 독일 78.7%순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2.07.08 0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제네릭협회 발표...점유율, 약가인하정책 무관 시장 성숙도 좌우

유럽에서 제네릭 시장점유을이 가장 높은 국가는 네델란드로 81.1%에 달했다.

다음으로 독일 78.7%, 폴란드 76.5%순이었다. 영국의 경우 75.2%, 스웨덴 72.1%순이었다.

주목할 대목은 가장 강력한 약가인상 억제정책의 하나인 '제네릭 입찰제'를 도입한 네덜란드 와 정반대로 약가규제가 거의 없는 자율가격제 기반의 영국과 독일의 제네릭 점유율이 높다는 점이다. 

또 제네릭 시장점유율이 높은 국가의 경우 점유율이 낮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가가 저렴하다는 공통점도 확인됐다.

이같은 내용은 유럽제네릭협회(Medicines for Europe)는 지난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개최한 연례회의에 앞서 지속가능한 유럽의 제네릭 약가정책 모델(New pricing models for generic medicines to ensure long-term healthy competitiveness in Europe) 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유럽 국가별 최근 5년간 시장점유률 변화는 다음 표와과 같다.(바이오시밀러 제외/처방약 전체시장 규모 유로화 기준)

출처: Medicines for Europe
출처: Medicines for Europe
출처: Medicines for Europe
출처: Medicines for Europe
출처: Medicines for Europe
출처: Medicines for Europe

룩셈부르크(30%) 및 그리스(39.4%)는 40% 이하의 제네릭 점유율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제네릭 점유율이 증가하는 반면 헝가리와 폴란드는 변동이 적었으며 리투아니아와 루마니아는 감소추세를 보였다.

유럽 각 국가별 제네릭 약가정책 특징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국가가 외국/동일질환 참조가격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약가협상은 이탈리아외 3개국만 운영중이다. 이외 대부분 환수시스템을 운영하고 급여총액에 대한 상한제를 두지는 않는 등 국내 제도와 방향성에서 큰 차이는 없다.

보고서는 유럽 의약품시장 전반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상식이 되는 제네릭산업의 특성에 대해 강조했다. 

제네릭 의약품 제조업체는 극히 낮은 마진이 아닌 판매량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점이다.

높은 제네릭 점유율에도 불구 네델란드의 제네릭 입찰제는 약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나 그로 인해 경쟁이 위축된다는 점에서 업계입장에서는 자율가격제도가 더 선호됐다. 즉 의약품 비용 절감 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 가격 정책은  비슷한 효과는 비슷하고 부작용이 크다는 점에 대해 지적했다.

특히 약가규제제도의 복잡성은 제네릭시장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해석하고 OIOO(One In One Out) 원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여러 복잡한 제도보다는 하나의 제도를 도입할 경우 기존 제도는 폐지하는 단순화된 약가관리체계에 대한 요구다.

이에 지속 가능성이 높은 다양한 제네릭 약가제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가장 심도깊게 거론된 약가정책은 캐나다의 계층별 약가규제정책이다.  제네릭 의약품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 간단히 제네릭의 수를 기반으로 약가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제네릭이 1품목인 경우 오리지널 약가의 75%(오리지널이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85%)의 높은 약가를 책정하되 반대로 제네릭 수가 많을 수록 약가를 더 떨어뜨리는 방식이다. 최대 오리지널 약가의 25%까지다.

약가는 고정되지 않고 제네릭 수의 변화에 따라 재조정된다. 즉 경쟁약물이 적어지는 경우 약가인상이 가능하다. 

독일 등 자율약가제도를 운영하는 국가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벨기에의 참조약가제도도 비슷하게 작동하는 규칙을 갖고 있는 등 보고서는 제네릭업계의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동할 것으로 진단됐다. 

이외 오리지널 약가와 제네릭 약가의 연동을 중단시켜 제네릭 간의 경쟁에 집중하는 방식과 인플레이션 자동 연동, 가치가반 가격 책정 정책 등이 지속가능성이 높은 약가정책으로 제안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