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대응, '플랫폼·대규모 투자' 받고 '전략' 세워야"
상태바
"감염병 대응, '플랫폼·대규모 투자' 받고 '전략' 세워야"
  • 문윤희 기자
  • 승인 2022.06.30 0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韓 기술개발 전략 체계 미흡…기초·기반연구, 장기적 투자 중요

"차세대 플랫폼기술과 인력・인프라 등 정부주도 영역과 민간 참여에 의한 기술 국산화와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확충을 고려한 기술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차후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플랫폼'과 '대규모 투자'를 전제로 한 정부의 전략적 지원 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허가로 '백신주권'을 확보한 29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감염병 위기대응 4대 영역별 핵심기술 및 정부 R&D'(김주원, 홍미영)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플랫폼 기술 확보와 기술 다양성, 대규모 투자가 전략적으로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보고서는 우선 4대 영역으로 ▲진단 ▲백신 ▲치료 ▲방역을 꼽은 뒤 각각의 영역에 대한 평가를 내놨다. 

먼저 진단 부분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규모가 급성장했지만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차세대 진단 플랫폼 기술과 공공적 중요도가 높은 병원체자원 확보 및 분석기술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지적했다. 

이어 백신에 대해서는 "정부R&D 투자가 최근 5년간 연평균 20% 증가했고,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지만, 현재도 민간의 원천기술이 충분하지 않아 글로벌 기술경쟁력과 신기술 등장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기술의 투자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치료 부분에 대해서는 "기초・기반연구와 유망 후보물질 등 선행단계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투자가 중요하고, 치료제 개발 플랫폼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면서 "방역의 경우, 민간의 자체 수익발생이 어려운 예측・예방 분야에 정부투자 필요성이 높고,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대응기술과 방역 신기술 분야는 연구자원・인프라 구축・제공, 산학연 협력, 규제개선 등 민간 연구개발 활동 지원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4개 분야 평가 후 "신・변종 감염병은 발생 시기 및 대상 병원체, 전파양상 등이 시기마다 상이하므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플랫폼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면서 "신・변종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플랫폼기술과 전후방 소재・부품・장비 기술에 고른 지원을 통한 기술 다양성 확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백신・치료제 플랫폼 개발뿐만 아니라 이를 검증하고 GMP 생산 등 기술 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개념검증(POC) 수준에 그치지 말고 유망 과제를 발굴하여 임상1~2상 단계의 정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감염병 발병기전 등 근원적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 및 특화된 전문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장기적 투자를 통한 인력양성과 연구여건 개선 노력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는 감염병 중 연구투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연구가 단절되는 분야를 우선적으로 파악해 장기적 투자를 통한 인력양성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감염병 위기 발생 시 진단키트, 마스크 등 방역물품과 치료제・백신 부족이 심화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민관 협력과 생산 지원 확대 필요하다"면서 "정부R&D 투자・성과와 현재 기술수준 등을 주기적으로 반영해 감염병 위기대응 
4대 영역별 기술개발 목표를 재설정하고 향후 정부R&D 투자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보고서는 차세대 혁신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의 사례를 따라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미국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DARPA(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를 통해 mRNA 백신 플랫폼에 
선제적인 투자를 진행했다. 또 코로나19 상황에서 초고속작전인 OWS(Operation Warp Speed)을 통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는 등 단기간에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보고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감염병 위기대응 R&D 지원을 위해 산학연이 보유한 기술역량을 결집하는 한편, 기술역량과 산업구조 등을 고려하여 선택과 집중 및 단계별 역량 강화 등이 필요하다"면서 "차세대 플랫폼기술과 인력・인프라 등 정부주도 영역과 민간 참여에 의한 기술 국산화와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확충을 고려한 기술개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