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보다 배꼽이 더 큰 美약가...정가의 52% 리베이트·할인
상태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美약가...정가의 52% 리베이트·할인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2.06.17 0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앞으로 벌고 뒤로 새는 빅파마...약가인상 불구 순가격 하락

빅파마의 미국 의약품 정가에서 리베이트와 할인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52%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노보노디스크는 지난해 총 미국 판매액477억 달러(3402억 덴마크 크로네)의 75%에 해당하는 300억달러(한화 약 38조 7천억원)의 할인판매와 리베이트를 제공했다.

리베이트 비중이 높은 인슐린이 주력인 릴리의 경우도 의약품 정가에서 리베이트와 할인 비중이 61%로 높았다. 말 그대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구도다.

드럭 채널스는 최근 미국의 높은 약가 구조에 대해 온전히 제약사의 책임이라기 보다는 불투명한 유통구조에 기인하는 현상이라는 분석 자료를 제시했다. 

분석은 리베이트와 할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릴리, 제넨텍, GSK, 얀센, MSD, 노보노디스크, 사노피, 다케다, UCB 등 1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또 전체적으로 특허가 만료되지 않은 신약의 판매 표시 가격에서 리베이트와 할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52%에 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 빅파마는 매년 약가를 인상했으나 리베이트와 할인 비중이 증가, 실제 제약사의 공급가는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개별 제약사별로 제공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노보노디스크

출처: 노보노디스크 연간보고서
출처: 노보노디스크 연간보고서

미국 총매출의 75%(300억달러/한화 약 38조 7천억원)가 리베이트 할인으로 제공돼 10개 제약사중 그 비중이 가장 높았다.

2020년 74%였던 비중은 지난해 1% 더 증가했으며 약가를 2% 인상했으나 순가격(공급가격은 -12.3% 떨어졌다.

인슐린의 경우 약가인상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순가격만 10.2% 인하됐다.

2017년부터 약가인상에도 불구 순가격이 지속 인하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릴리

출처: 릴리 ESG 보고서
출처: 릴리 ESG 보고서

릴리는 약가인상에도 불구 순가격의 하락이 2018년부터 시작됐다. 지난해에는 4.9% 약가인상을 했으나 공급가격(순가격)은 1.2% 하락했다.

리베이트와 할인의 비중은 2016년 50%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2020년 60%까지 늘었다. 지난해에는 61%까지 확대됐다.

특히 휴마로그의 경우 공급가격은 43달러에 불과하나 표시가격은 232달러에 달했다.

표시가격은 인상되지 않았으나 2019년부터 순가격이 인하되면서 격차가 커졌다. 공급가격은 62달러에서 3년사이 43달러까지 떨어졌다.

 

얀센

얀센 미국 투명성 보고서
얀센 미국 투명성 보고서

얀센은 리베이트와 할인, 수수료 등으로 지출한 금액이 가장 많다. 339억달러(한화 약 43조 8천억원)에 달한다. 

총매출 대비 비중은 54.8%에 달했다. 또 지출총액은 2020년 대비 15.2%나 증가했다.

이로인해 약가인상에도 불구하고 순가격은 2020년부터 마이너스 성장했다. 지난해 순가격은 2.8% 인하됐다.

얀센은 2016년 17억달러에 불과했던 민간보험과 PBM 관련 리베이트가 지난해 83억달러로 5배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정부주도의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과 340B할인에 비해서도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사노피

사노피의 미국 약가의 리베이트 비중은 49%.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의무 리베이트 58억달러와 민간보험사와 PBM 사등에 지불된 재량권을 갖은 리베이트 83억달러 등 총 141억 달러다.

약가는 1.5% 인상됐으나 순가격은 1.3% 인하됐다. 

사노피는 인슐린 가격의 경우 공급가격이 2012년 이래 10년간 54%나 인하돼 지난해 50달러 미만으로 공급되고 있으나 표시가격은 350달러를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출처: 사노피 가격 원칙 보고서
출처: 사노피 가격 원칙 보고서

저렴하게 공급되는 인슐린에 대한 혜택은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약가 차액에 대한 이익은 보험사와 PBM 등이 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메디케어 원외처방부분(파트 D)에서 그 격차가 커졌으며 실제 란투스의 공급가는 2004년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UCB

UCB의 지난해 4.1%의 약가 인상에도 불구 순가격은 평균 4.0% 낮아졌다.

리베이트와 할인비율은 지난해 46.6%로 2017년 37.7%에 비해 높아졌다. 금액으로는 28억달러다.  

출처: UCB 지속가능 접근성 및 약가 투명성 보고서
출처: UCB 지속가능 접근성 및 약가 투명성 보고서

노바티스

노바티스 미국지사는  Novartis in Society 미국보고서 마지막 페이지에서 간략하게 다뤘다.

노바티스의 리베이트 할인 비율은 2017년부터 지속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45.2%로 2017년 49.5% 대비 개선됐다.

이로인해 약가 순가격의 하락은 지난해 멈췄다. 약가를 3.9%인상했으며 순가격은 좀 더 높은 4.2%를 기록했다.

GSK

GSK도 ESG 활동 보고서에서 매우 간단하게 보고했다. 보고 내용으로는 지난해 리베이트와 할인 비중이 감소했다. 지난해 약가 인상은 4.6% 였으며 순가격은 5.5% 올랐다.

2020년까지는 약가인상에도 불구 순가격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케다

다케다의 지난해 할인금액은 42%였다. 다케다 미국 지사장이 지난해 메디케어 약가협상 권한부여 법안 반대의견을 피력했던 당시 리베이트 비중이 40%가 넘어섰다는 주장과 일치한다.

약가인상은 4.1%였으며 리베이트 증가로 인해 순가격은 1.0%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외 제넨텍이 1.9%의 약가 인상에 반해 순가격은 1.2% 인하됐다. 리베이트 확대에 따른 어려움을 '가격의 과학' 이라는 코너를 통해 설명했다.

뉴스더보이스가 지난 4월 소개한 아이큐비아의 '미국 2022년 의약품 사용보고서'와 동일한 기조의 분석이다.

미국의 약가는 지속 인상되나 리베이트의 증가로 인해 제약사의 공급가격 즉 순가격은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했다.

순가격은 10개 제약사중 6곳의 하락했으며 4곳만 상승했다. 제약사의 수익과 무관한 약가의 상승률은 지난해 기준 3.4%로 분석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