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임상자료, 재심사제도 보완 충분...본비바정으로 확인
상태바
실제임상자료, 재심사제도 보완 충분...본비바정으로 확인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2.04.14 0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병원-이화여대-엠에스디, 신약 등 재심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발표

실제임상자료(Real World Data, RWD)를 활용해 신약 등의 재심사제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협력센터(연구자 김미숙)와 이화여자대 융합보건학과(정나영), 제약산업학과(최남경), 한국엠에스디 의학부(김요한)는 최근 발행된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에 이같은 내용의 '신약 등의 재심사제도 개선방안: Real World Data를 활용한 재시사 완료 의약품의 안전성 모니터링 연구'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재심사가 종료된 이반드론산나트륨(상품명 본비바정)을 대상으로 RWD를 이용한 턱주위 골괴사, 염증성 안질환,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및 독성표피괴사용해(TEN)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수행해 재심사 제도내 사용성적조사의 보완 및 대체 가능성을 확인했다.

연구는 본비바정의 재심사 기간을 고려해 2007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골다공증(ICD-10, M80, M81)으로 진단받고 같은 기간 동안 이반드론산나트륨 또는 알렌드론산나트륨을 처방받았던 50세 이상 여성 환자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이용했다.

연구결과 국내 시판 후 조사에서는 6년 동안 647명의 폐경 후 골다공증환자를 대상으로 사용성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관계없이 4.95%인 32명에게서 44건이 보고됐다. 소화불량 12명서 13건, 인플루엔자 유사증후군 12명서 12건, 근육통 9명서 9건 등의 순으로 보고된 것이다. 반면 턱주위 골괴사나 염증성 안질환, SJS 및 TEN은 사용성적조사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RWD를 이용한 이번 연구 결과 본비바정을 복용한 4만4313명 중 29명에서 턱주위 골괴사가 발생하고 2만1485명 중6043명에서 염증성 안질환, 4만8748명 중 5명에서 SJS 및 TEN이 발생한 것을 고려할 때 턱주위 골괴사와 SJS 및 TEN 연구에서도 비교적 매우 드물게 발생했기에 사용성적조사에서 확인하기 어려웠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다만 염증성 안질환은 본비바정 노출군 가운데 비교적 많은 환자에서 발생했으나 사용성적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사용성적조사 대상자 선정시 비뚤림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와 같이 RWD를 이용한 시판 후 약물 감시 수행시는 안전성 문제에 따라 비교약물의 선정에 유의해야 하며 발생률이 매우 드문 질환에 사용되는 의약품을 선정하거나 희귀질한을 결과변수로 설정할 때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희귀질환의 경우 RWD를 이상반응의 발생 규모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정도로 활용하거나 사용성적조사 수행 시 조사 대상 환자수를 선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을 권고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RWD를 이용해 의약품 시판 후 조사를 수행할 경우 이상사례 발생건수를 비롯해 기존에 안전성 정보가 알려진 대조약물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의약품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면서 "우리나라에서도 RWD를 이용한 의약품 시판 후 조사가 적합한 상황을 고려하고 RWD를 사용한 기존의 재심사제도를 보완, 보다 효율적인 사판 후 약물감시가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미국, 유럽, 일본은 RWD를 활용한 의약품 시판 후 조사를 추진, 약물감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도 소개했다.

먼저 미국은 자발적 부작용 보고, 정기적인 유익성-위해성 평가 보고(PBRER), 시판 후 요구연구 및 시판 후 합의 연구, 위해성 평가 및 완화전략 등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유럽은 2012년 의약품 안전성과 유익성-위해성 균형 관리를 강화한 GVP 규정을 마련한 이래 이를 근거로 하는 시판 후 의약품 안전관리제도로 자발적 부작용 보고, PBRER, 시판 후 안전성 연구, 시판 후 유효성 연구, 위해성관리계획, 갱신제도 등을 운영 중이다.

일본도 최근 위해성관리계획으로서 시판직후조사 및 사용성적조사, 제조판매 후 임상시험을 비롯해 RWD를 이용하는 제조파내 후 데이터베이스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