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 발생 전후 건강-의료이용 변화는?
상태바
시각장애인 발생 전후 건강-의료이용 변화는?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4.20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산병원 정은지 교수 연구팀, 관련 보고서 발간
정은지 교수
정은지 교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 연구팀이 '시각장애인의 장애 발생 전후 건강 및 의료 이용의 변화' 보고서를 발간했다.

시각 장애는 시력 제한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있어서 광범위한 제한과 낮은 자립수준을 야기하므로 시각장애인들은 사회적, 경제적, 의료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높이게 되며,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연구팀은 중요한 공공 보건 문제의 하나인 시각장애와 관련된 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우리나라의 시각장애와 각종 질병 및 의료비, 의료이용실태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 및 장애 등록 자료를 이용해 조사한 결과,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만성 대사성 질환의 발생 빈도는 시각 장애 등록 3년 전부터 비장애인보다 시각장애인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 등록 시점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했다.

반면 외상성 질환인 고관절 골절과 정신·신경과 질환인 우울증, 치매의 경우 시각 장애 등록시점 1년 전부터 비장애인에 비해 점차 위험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시각 장애로 인하여 만성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낙상 등 사고의 위험과 일상생활 및 사회 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정신 건강 저하와 인지기능의 악화가 질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비장애인과 시각 장애인간의 차이를 보인 모든 질환에서 경증 장애인보다 중증 장애인이 더 높은 질병 발생 위험을 보였으며, 의료 이용 및 의료비용 역시 중증 장애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보고서를 통해 "고령의 시각 장애인에 있어 고관절 골절 발생 예방을 위해 간병, 보호 및 활동 지원을 위한 복지 정책 확충이 필요하다"며 "또 시각 정보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 시각 장애인들의 정보 습득 격차 및 일상생활 제한이 더욱 심화되고 있으므로, 우울증 및 치매 고위험군에 대한 심리적 지원 등 예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책임자인 정은지 교수는 "특히 중증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의료비의 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며 "또 향후 시각 장애인의 유병률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시각 장애인 등록 기준 완화 및 복지혜택의 확장을 고려해야할 것"이라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