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여년 세월 거친 동광제약, 연구개발만 65년 됐는데...
상태바
70여년 세월 거친 동광제약, 연구개발만 65년 됐는데...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1.03.29 0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52년 첫발 후 56년 부산에 연구소 설립
76년부터 '삼보력' 등 홍콩-대만 해외 수출 확대
동광약품서 여러차례 상호변경 후 91년 제자리
97년 한자례 부도 후 회생거쳐 정상화 성공
신약보다는 고부가가치 개량신약-제네릭에 주력

1952년 동족상잔의 아픔 속에서 꽃 피운 제약사가 있다. 동광제약은 70여년의 세월을 거친 오랜 역사를 지닌 국내 중견제약사다.

긴 역사만큼 동광제약은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소 설립도 여타 제약사에 비해 이른 편이다. 1956년에 부산에 연구소를 설립한 후 6년 뒤인 62년 서울로 이전하면서 연구활동을 키워나갔다.

동광제약은 첫 시작은 동광약품이었다. 설립부터 의약품 제조허가를 받았으며 60년대에 들어 소화제 '판타제정'을 비롯해 피부질환치료제 '트리코트크림', 감기약 '노바킹시럽'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본격적인 제약사의 면모를 만들어갔다.

70년대에는 해외수출에도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76년에 인삼드링크 '삼보력'과 인삼엑기스 연질캅셀을 홍콩과 대만 등지에 수출한 것이다. 수출은 이후에도 미얀마, 베트남 등 세계 30여곳에 의약품을 공급하면서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78년도에는 대연각 물산에 인수되면서 현재의 동광제약으로 상호가 변경됐다. 이후 81년 또 다시 개양물산에 인수됐고 1991년 다시금 상호가 동광제약으로 변경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90년대는 국내신약으로 프로드러그형 새로운 NSAID '유니메톤정(나부메톤)' 허가받고 평택공장과 중앙연구소를 설립해 연구에 박차를 가했다. 2000년대는 의약분업과 함께 전문약 허가와 출시를 대폭 확대하면서 2008년 서울로 중앙연구소를 확장이전했다. 내용고형제를 넘어 연고제, 액제, 페니실린제, 주사제에 대한 생산라인 증설하는 등 고령화에 따른 노인성질환에 주목했다. 퇴행성 관절염을 비롯해 골다공증, 전립선비대증, 요부척추관협착증, 중증도 알츠하이머 등의 치료제를 출시하면서 영역을 넓혀갔다.

지난해는 북대서양조약기구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등 그간의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면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 중구 동광제약 본사 소재 건물이다.
서울 중구 동광제약 본사 소재 건물이다.

 

◆주요제품과 그간의 매출 현황

동광제약이 식약처에 허가를 받은 의약품은 29일 기준 총 354품목이다. 이중 일반약은 50품목이며 나머지 304품목은 전문의약품이다. 일반약대 전문약의 비중은 14%대 86%수준이다.

허가가 남아있는 품목중 가장 오래된 의약품은 마약류 '코데농정'이 1970년에 허가를 받았다.

그럼 처방의약품 중 매출에 기여하는 품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대표제품은 태반주사 '하라센씨주', 관절염치료제 '아라간주', '아라간플러스주' 등이 있다. 지난해 유비스트자료에 따르면 중등도-중증의 급만성 통증제 '타라셋' 49억원, 고혈압치료제 '텔미스타'시리즈 38억원, 고지혈증치료제 '동광 수바스타틴칼슘' 35억원, 위궤양치료제 '라베스타' 33억원,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에소마크' 32억원, 기억력저하에 쓰이는 콜린제제인 '콜린포' 32억원,  복합형이상지질혈증치료제 '피에프' 31억원으로 30억원이 넘어 주축이 되고 있다.

그간의 매출을 살펴보면 2015년 835억원에서 2016년 932억원, 2017년 1048억원으로 처음으로 1000억원대에 진입했다.

2018년 1217억원, 2019년 1387억원이었다. 지난해 매출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유비스트자료에 따른 처방매출은 861억원에 달해 전년 739억원 대비 122억원 늘어 순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2월 처방액도 144억원이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매출도 높은 성장이 전망된다.

 

◆연구조직과 연구개발 관련 투자 현황

동광제약은 개량신약과 퍼스트 또는 고난도 제네릭에 중심으로 고부가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비용부담이 큰 신약개발에 투자하기보다는 전략적으로 손쉽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공략한다는 것이다.

제제기술을 통한 제네릭 연구와 함께 특성화품목 확보를 위한 개량신약 연구와 주사제 제품별 확대 연구, 천연물이나 합성의약품, 바이오의약품 등 중장기 제품 연구와 개발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연구조직은 연구1~4팀과 연구기획팀으로 나눠져 있으며 기획팀은 신기술 발굴 및 국내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개발비는 무형자산 기준 2014년 10억원이 못미쳤으며 2015년 8억원이 조금 넘는 수준이었다. 2016년 9억원, 2017년 11억원, 2018년 10억원, 2019년 16여억원이었다.

향후 신약의 경우 중추신경계 또는 피부용제 등에, 개량신약은 비뇨생식기계나 순환기계, 제네릭 및 의료기기는 근골격계에 대한 임상시험을 추진할 계획이다.

동광제약은 지난 2019년 기준 임직원 425명이 근무중이며 유병길 대표이사 사장이 전반을 이끌고 있다. 앞서 2014년 (주)개양의 제약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된 바 있다. 150억원의 자본금 등 총 자산은 1062억원이었다.

특수관계사는 부동산업인 개양이 주식수 100%를 보유하고 있으며 개양의 경우 2020년말 기준 부동산업인 고려통상의 80.2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대표이사는 김진성 사장이다.

동광제약은 앞서 고려증권그룹의 계열사로 1998년 IMF외환위기 당시 부도를 냈으나 화의를 통해 2006년 경영정상화를 이끌어냈다. 이창재 고려통상그룹 회장이 동광제약의 실소유자이다.

동광제약은 결국 제네릭을 중심에 둔 차별화된 기술중심의 연구역량에 주력하고 있다.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만성질환 관련 치료제 출시를 열을 올리고 있다. 모든 제약사가 뛰어든 현 시장상황에서 치열 경쟁을 통한 틈새시장을 어떻게 만들어갈지 앞으로가 궁금해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