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암 NTRK 융합빈도 높아...로즐리트렉·비트락비 주목
상태바
소아암 NTRK 융합빈도 높아...로즐리트렉·비트락비 주목
  • 주경준 기자
  • 승인 2021.01.28 06: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세대 TRK 억제제 셀리트렉티닙ㆍ레포트렉티닙 진입 준비중

암종을 불문하고 다양한 고형암 치료옵션인 1세대 TRK 억제제 계열 항암제 로즐리트렉(엔트렉티닙)과 비트락비(라로트렉티닙)가 소아암에 범용성이 높다는 연구가 제시됐다.

27일 JCO 정밀 종양학(JCO Precision Oncology)에 최근 게재된 '소아 종양에서 확인된 NTRK 융합'(NTRK Fusions Identified in Pediatric Tumors: The Frequency, Fusion Partners, and Clinical Outcome)에 따르면 소아 암환자에게서 NTRK 융합 양성반응이 더 잦은 빈도로 발생, 보다 적극적인 NTRK 융합여부의 진단 중요성을 피력했다.

연구결과의 주 내용은 필라데리아 소아병원 등의 1,217명의 소아암 환자에서 1,347개의 종양을 분석한 결과 27명, 29개 종양에서 NTRK융합을 확인했다. 융합양성율은 환자의 2.2%, 고형 종양의 3.08%다. 1명에 대해서는 '비트락비'를 투약, 병리적 완치 결과가 소개되기도 했다.

통상 성인 암환자 1% 정도에서 발생하는 NTRK(NTRK Neurotrophic tyrosine receptor kinase: 신경영양성 티로신 수용체 인산화효소) 융합 양성비율이 소아암에서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다. 즉 로즐리트렉과 비트락비가 소아암에서 더 적극적으로 분자진단법을 활용, 항암 치료제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신호다.

NTRK 융합은 TRK 억제제로 치료하기 적합한 환자를 식별하는 바이오마커(지표, 기준)로 이에 부합하면 연령과 종양의 종류에 무관하게 항암요법으로 활용가능하다. 기존 항암요법으로 효과를 보지 못하는 환자에게 희소식인 반면,  NTRK 융합 양성 환자에만 국한된다는 점에서 제한적 혜택이며 시장 규모도 한계를 갖는다.

국내 암환자 등록통계상 투약 가능한 환자군은 단순히 NTRK 융합 양성비율을 대입하면 1~2만명, 연간 신규 암환자는 2천명내외 수준이다. 즉 진단 활성화가 시장성패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로즐리트렉를 출시한 로슈는 자사의 진단분야 강점을 활용 '진단부터 치료까지' 올라인 체계로 1세대 TRK 억제제의 시장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로슈진단은 로즐리트렉 국내 허가에 맞춰 진단키트 panTRK(EPR17341) Assay를 지난해 출시했다. IHC(Immunohistochemistry) 방식으로 저렴한 비용이 장점이다. 이외 비교적 저렴한 RT-PCR과 FISH, NGS 방법이 활용된다. 

비트락비로 TRK 억제제 치료 영역을 함께 확대하고 있는 바이엘은 차세대 주자 '셀리트렉티닙(selitrectinib, 임상 BAY 2731954 또는 LOXO-195)을 시장에 내놓기 위한 임상연구가 한창이다.

임상연구자와 여러 외신에서는 대부분의 항암제가 갖고 있는 '내성' 문제에 대해  1세대 TRK 억제제도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며 차세대 성분들이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상 수순에서 약간의 결은 다르지만 거론되는 또다른 성분은  '레포트렉티닙 (repotrectinib, Turning Point Therapeutics사).  ROS1 양성인 비소세포암 치료제로서 국내를 포함한 다국가 임상연구(TRIDENT-1 등)를 진행중이다. 여타의 암환자와 TRK 치료제 이용 후에도 진행된 고형암 등에 대한 유효성으로 FDA로부터 '패스트 트랙'으로 지정받기도 했다.

한편 로즐리트렉과 비트락비는 국내 허가기준으로 NTRK 융합 양성 환자 고형암 치료제라는 공통 허가 기준외 약간의 차이가 있다. 로즐리트렉은 12세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성인 ROS1 양성 비소세포페암에 추가적인 적응증을 갖고 있다. 비트락비는 생후 28일~2세미만 14명 투약사례 등 임상시험 설계의 차이로 12세 이하의 어린 소아암 환자에게 투약이 자유롭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