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환자를 위한 '신종코로나' 대응
상태바
(수첩) 환자를 위한 '신종코로나' 대응
  • 엄태선 기자
  • 승인 2020.02.05 1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뜻하지 않은 국가적 비상사태로 이끌고 있다.

지난 2015년, 무려 186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이중 38명이 사망한 바 있는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의 공포가 되살아날까 온 국민이 걱정하며 경계태세에 들어간 상황이다.

특히 중국 우한을 다녀온 여행자 등에게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점차 증가하면서 우려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6일 감염자가 23명까지 확진을 받았고 거의 매일 그 수가 조금씩 불어나고 있다. 정부는 현재 확진자들의 이동경로를 확인해 방제 및 접촉자 격리 등과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기침예절 등 대국민 예방캠페인을 진행에 주력 중이다. 

문제는 아직 확인할 수 없는, 증상이 없는 잠복 감염자뿐만 아니라 감염확진자의 이동경로에서 만났거나 접촉한 사람들을 빠짐없이 찾아 관리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다. 지역사회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막느냐는 것이다.

다만 국민의 의식이 과거 메르스와 달리 개인위생관리가 좀더 생활화됐다는 데 기대감이 크다. 머지않아 '확산 종식'의 가능성을 점칠 수 있는 요인이다.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국민의 보건마스크 쓰기만 보아도 확 달라진 모습이다.

종전과 달리 불편은 있지만 마스크 착용이 자연스럽게 실천되고 있다. 오히려 대중교통이나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것이 이상하다는 느낌마저 들 정도다. 그만큼 시민의식 성장과 함께 그 어느 때보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교차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어찌됐든 지역사회로의 포괄적 감염 차단을 위한 정부의 노력과 국민 개개인의 철저한 위생관리는 격상된 것은 틀림없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하나가 있다. 바로 치료를 받아야할 환자들이다.

결국 감염병으로 격리 치료받는 곳도 의료기관일 수밖에 없기에 입원환자나 외래환자에 대한 강력한 관리가 필요하다. 만약 대형 의료기관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유입된다면 제2의 메르스사태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다. 병원을 찾은 환자를 최전선에서 보호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 기자는 서울의 A대형병원을 찾은 바 있다. 해당 병원은 입원환자 면회는 원천적으로 금지됐으며 보호자도 1명만 병실에 있도록 하는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었다. 병원 입구에서부터 열 감지기를 설치하고 병실이동통로에 사람을 배치에 관계자 외 병실 출입을 막았다. 신종코로나를 방제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었다.

병원에 입원을 준비하는 환자나 보호자는 다소 불편함이 생길 수 있지만 환자를 위한 최소한의 '보호막'이기에 기자로서 십분 이해가 가는 부분이었다.

병원이 뚫리면 환자의 건강은 나락으로 떨어지기 마련이다. 병원 방문객과 병원 관계자들의 세심함이 이번 신종코로나 사태의 피해를 줄이는 하나의 해결책으로 믿는다. 정부도 의료기관 등 요양기관의 노력을 적극 지원해야 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